시리, 애플의 미래인가?


리는 인공지는 음성인식 서비스로 애플의 아이폰4S에만 특화된 기능이다. 

그런데 애플 소식을 주로 전하는 블로그 제일브레이크네이션에서는 시리를 다른 애플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할 것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었다.

애플이 시리를 어떤 기기에 적용하게 될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시리를 발표한 후 해커들은 아이폰3GS·아이팟터치·아이패드 등 시리를 적용해 공개하기도 했다.

아이폰4S의 시리는 주요 마케팅의 포인트였다. 시리를 아이폰4S 이전 애플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게 될 지는 미지수이지만, 아이폰4S뿐만 아니라 아이폰3GS·아이폰4·아이패드 등에 적용하게 되면 애플이 가져갈 이익은 아이폰4S를 많이 판매할 때와 비교도 할 수 없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단점은 아이폰4S만의 매력을 떨어뜨린다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럼 과연 시리는 애플의 미래인가?




  • 시리, 정보의 속성을 바꾼다!
아이폰4S의 시리는 사람의 말을 직접 듣는다는 점이 핵심이다. 곧 이 기능은 사용자의 언어를 받아들여 문맥을 이해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나 기능을 실행주는 서비스이다. 시리는 사용자의 말을 분석하는 과정은 애플 서버를 이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시리와 대화를 할 때마다 말한 문장이 애플서버에 데이터로 쌓이게 된다. 그럼 이 막대한 양의 데이터는 애플에게 어떤 의미가 될까? 한마디로 '정보'인 것이다.

시리는 사용자가 주고받은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 담겨 있다. 모바일 기기에 GPS가 보내주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위치정보를 조합해 생활방식까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인터넷에 널린 데이터를 보여주는 데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생활을 정보화시킴으로써, 정보라는 데이터의 속성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애플의 시리, 구글을 위협할 수 있는가?
에릭 슈미트 구글 CEO는 "애플의 시리가 검색 분야에서 구글의 핵심 사업에 위헙이 될 수 있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의 발언은 정보의 속성이 날것의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패턴으로 바뀔 때, 정보 검색과 검색 시장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국면에 접어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시리가 지금부터 쌓아두는 정보가 앞날을 바꿔 놓는다는 것을 예측해 본다면 비약일까? 
만약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백화점이나 주유소 등을 데이터로 쌓아뒀다가, 이를 광고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장 최근 검색한 물건을 시리의 정보를 통해 백화점에서 세일할 때 알려주거나 사용자가 주유가 필요한 시점에 맞춰서 주유소의 할인 프로그램 등을 광고하는 식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무분별하게 광고하던 방식을 사용자 행동 패턴에 따라 한 사람만을 위한 광고가 제공되는 셈이다. 이는 시리가 쌓아놓은 사용자 패턴 데이터 덕분이다.


시리의 기능을 더 많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과 아이폰4S에서만 이용하도록 하는 것 중 어떤 것이 애플이 득이 되는 가의 대한 답은 애플이 더 잘고 있을 것이다.




재미로 보는 '시리 부부싸움'

출처 : http://www.pandora.tv/video.ptv?c1=05&ch_userid=powerhex&prgid=46680375&ref=na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필터버블(filter bubble)

 

  • 필터버블 정의

인터넷 기업이 개인의 인터넷 포털서비스 사용 경향을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포털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개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검색 결과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쉽게 말해 애플, 구글,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기업들이 이른바 온라인에서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가운데 개별 사용자가 점점 더 자신만의 울타리 안에 갇히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필터버블의 특징

- 우리도 모르는 상 누군가가 개인을 관찰하고 특정한 틀 지워진 정보만 제공하고 있다면서 그것이 우리의 생각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다는 경고

- 인터넷 사용자 개인이 포털을 이용하는 경향을 분석하여 이러한 정보를 좋아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주체적으로 세우고 멋대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등장

- 엘리 프레이저의 저서 <생각 조종자들>의 저자가 만든 책에서 '필터버블' 제시

- 실제 2009년 1월 구글이 YOU가 어디를 통해 로긘 하는지, 어떤 브라우저를 사용하는지, 전에 무엇을 검색했는지까지 57개의 시그널을 이용해 당신이 누구며 어떤 성향인지 추측, 개별적인 검색 결과를 거울처럼 보여줌

 

  • 필터버블 깨트리는 법

- 가끔 브라우저 히스토리와 쿠키를 제거한다

- 보고 싶지 않은 콘텐츠를 찾아볼 땐 '익명'의 윈도우를 사용한다

- 개인화 엔진이 사용자들을 분류하기 힘들도록 의도적으로 링크드을 클릭한다. (스스로 저형화하기 힘드도록 만든다)

- 페이스북에 이미 차단된 친구들의 상태 업데이트를 차단 하지 않는다.

- 페이스북 대신에 트위터를 이용하여 뉴스를 본다.

- 페이스북 뉴스피드 페이지이 바닥에 있는 '옵션 설정' 리크를 클릭한다. (상대방이 차단되어 있는 대화상자가 보인다. 그 상대방을 수동으로 숨기거나 나타낼 수 있고 모두를 차단과 해지가 가능하다. 이 대화상자는 오직 친구들로부터 사용자에게 오는 것에마 영향을 받는다)

- 페이스북에서 매주 글을 게재하고 관심 있는 친구들에게 '좋아요' 버튼을 클릭하고, 댓글을 달도록 요청한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 추후에 페이스북에서 친구들의 댓글을 걸러내는 것을 막는다)

 

<온라인 필터버블과 장벽!> 재생을 누른 후 languages에서 Korean을 누르면 자막이 뜬다.

 이 동영상은 오래전 TED에서 '엘리 파리저'가 필터버블의 인터넷 포털 개인화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영상이다.

엘리 파리저는 웹 기업들이 그들의 서비스(뉴스와 검색 결과 포함)를 우리의 개인적 성향에 맞추기 위해 노력할 때, 위험하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난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필터 버블'의 함정에 빠지고, 우리이 세계관에 도전을 주거나 확장시킬 수 있는 정보에 노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는 이것이 궁극적으로 우리와 민주주의에 나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동영상 출처 : http://www.ted.com/talks/lang/ko/eli_pariser_beware_online_filter_bubbles.html

 

v06e98500

 

 

'IT·유용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 애플의 미래인가?  (0) 2012.11.23
2012년 IT 사라진 기술/제품  (0) 2012.10.22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빅데이터(BigData)는 무엇인가?

 

 

  • 빅데이터(BigData)란?

빅데이터는 각종 센서와 인터넷의 발달로 데이터가 늘어나면서 나타났다. 데이터의 생성, 주기, 형식 등이 기존에 데이터에 비해 너무 크기 때문에, 종래 방법으로는 수집, 저장, 검색, 분석이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이다.

 

  • 빅데이터의 등장 배경들

사실 빅데이터라는 개념은 훨씬 이전부터 나왔다. 최근 소셜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사용자의 집단이 증가하였다. 이에따라 여러가지 소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고, 그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는 지금 이 시간에도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 빅데이터의 경제적인 가치 전망

1) Economist (2010) :

- 데이터는 자본이나 노동력과 거의 동등한 레벨의 경제적인 투입 자본, 비즈니스의 새로의 원자재 역할

- 비즈니스 트렌드 파악, 질병 예방, 범죄 해결 등 효과

2) MIT Sloan (2010) :

- 데이터 분석으 잘 활용하는 조직일수록 차별적 경쟁력을 갖추고 및 높은 성과 창출

- 조직 분석역량 3단계(열망-숙련-변혁 단계) 특징 제시

3) PwC (2010) :

- 빅데이터는 이전까지는 다루지 못하고, 시도하지 못했던 데이터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잠재적 가치와 영향력이 높음

- 빅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의 가치창출의 핵심 키가 될 것

4) Gartner (2011) :

- 데이터는 21세기 원유, 데이터가 미래 경쟁 우위를 좌우

- 기업은 다가올 '데이터 경제 시대'를 이해하고 정보 고리을 경계해야 성공 ㅏ능

- 빅데이터는 향후 주목해야할 이머징 기술(2~5년후 성숙)

5) Mckinsey (2011) :

- 글로벌 비즈니스 지형을 뒤바꿀 기술 트렌드의 3가지 핵심은 '클라우드', '빅데이터', '스마트자산'

- 빅데이터는 혁신, 경쟁력, 생산성의 핵시 요소

- 의료, 공공행정 드 5대 분야에서 6천억불 이상 가치 창출

 

 

  • 기업들의 빅데이터 사례

1) 아마존 : 고객의 SNS 활동과 지인 프로필 등을 분석하여 기념일에 선물을 추천하거나, 증권가에서는 투자정보를 SNS에서 언급되는 주요 주식과 주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얻은 투자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2) 월마트 : 검색통계를 활용해 특정 제품에 관심이 많은 지역 점포의 상품구성 조정을 한다.

3) 혼다 :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후 최적 운전 경로 등 각종 운전자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Internavi를 개발, 목적지 도달 시간 20% 단축, 온실가스 16% 감소 효과를 보기도 했다.

4) 다음 '소셜픽' : 트위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검색, 트윗, 댓글 등의 카운터를 분석하여 순위별로 보여준다.

- 이처럼 빅데이터는 트렌드를 읽어 낼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기업 자체의 경영, 마케팅, 운영 등에 있어서도 신제품의 개발이나 기업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IT뿐만 아니라 금융과 자동차, 정보통신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함으로써 고객의 생각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McKinsey

1) 의료, 공공행정, 소매, 제조, 개인정보 부문에 적용시 1%의 추가 생산성 향상 가능

  - 각 부문별로 적게는 $1,000억에서 $7,000억 규모의 경제적 효과 창출 예상

  - 생산성 향상 정도에 따라 나누어 볼 때, 컴퓨터와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분야에서 빅 데이터의적용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됨

  - 미국에서는 2018년까지 14만~19만명의 전문가 및 150만명 정도의 데이터 관리자와 분석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

 

2) 빅데이터의 활용은 산업 부문별로 약 0.5~1% 정도의 생산성 증가

  - 미 의료 부문에서는 연간 $3,300억, 유럽의 공공부문에서는 유럽환율 2,500억 절감 가능

   > McKinsey가 빅데이터 활용가치를 투사해 본 5개 부문은 글로벌 GDP $57.5조의 40%($22.3조)를 차지

# 출처 : McKinsey(2011)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